전체 글193 현대인 번아웃과 바다 (힐링, 감정, 연구) 저는 일상 속에 일이 너무 많고 힘들면 바다를 보러 가고 싶다는 생각이 자주 들었습니다. 부모님 고향이 제주도여서 어릴 적부터 바다를 많이 보고 자라서 그런가 싶기도 했는데, 또 주변 친구들 얘기를 들어보면 친구들은 바다를 자주 보거나 고향이 제주도인 것도 아닌데도 바다를 보러 가고 싶다는 말을 자주 하는 걸 들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바다를 보러 가고 싶어 하는 과학적인 이유나 심리학적인 이유가 따로 있을까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생각해 보면 특히 번아웃이 오면 더 바다를 보러 가고 싶어 지곤 했습니다. 도시에서의 빠른 생활 리듬과 과도한 야근 등의 소위 말하는 빡센 스케줄은 현대인에게 번아웃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요인으로 지적됩니다. 한국처럼 장시간 근로에 매진하는 문화가 만연한 사회.. 2025. 10. 1. 직장 내 에너지 관리법 (식습관, 수면, 운동) 저는 직장 생활을 할 때 고비가 늘 낮에 왔습니다. 밥을 먹고 나면 너무너무 졸려서 혼이 많이 났습니다. 그래서 항상 커피나 음료수를 입에 물어주곤 했지만 그럼에도 잠이 깨지 않을 때는 굉장히 곤혹스러운 적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낮에도 피곤하지 않고 직장 내 에너지관리법을 잘 써서 효율적인 업무를 할 수 있을까 고민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주변에도 몇 분 물어보는데 생각보다 직장 생활을 하면서 낮에 피곤함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매우 많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이는 단순히 업무량이나 스트레스만이 원인은 아닌 것 같았습니다. 최근의 국내외 연구도 참고해 보면 식습관, 수면의 질, 운동 부족이 서로 맞물리면서 피로를 가중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예를 들어 2023년 한국직업건강학회 보고서에.. 2025. 9. 30. 단백질 풍부한 콩고기, 고기맛 재현 비법 (식감, 향, 조리법) 제가 고기를 많이 먹으면 속이 더부룩한 적이 많은 편입니다. 그래서 이게 과식 때문인가 싶기도 했지만 고기량을 줄여도 그렇게 막 속이 시원하진 않은 느낌을 자주 받았습니다. 아무래도 고기가 채식에 비해 소화속도가 느려서 뱃속에 머무는 시간이 길다 보니 든든하다고 느껴지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저는 고기를 막 선호하는 편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채식주의자는 아니라서 고기와 채식의 비율을 어떻게 조합을 하면 좋을지 고민하던 때가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우연히 콩고기를 알게 되었습니다. 콩으로 만들어서 고기는 아니지만 고기처럼 생겨서 고기의 질감과 맛을 지니고 있다고 해서 신기했습니다. 직접 먹어본 바로는 정말 고기의 질감과 고기 맛이 나서 호기심이 들었습니다. 콩고기는 어떻게 고기맛을 재현하는지 그 비법에 .. 2025. 9. 30. 공복 속쓰림 원인과 예방법 (위산, 건강, 위장) 직장에서 일을 오래 하거나 독서실에서 공부를 오래 할 때 문득 배가 고프기도 전에 속이 쓰릴 때가 종종 있었습니다. 뭔가 위산이 흘러내려서 그런가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배가 고프면 뭔가 먹고 싶어져야 하는데 딱히 뭐가 먹고 싶지도 않은데 속이 쓰려서 음식을 넣어줘야 하는 걸까 의문이 든 적이 몇 번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게 저만 그런 건지 한 번 공복 속 쓰림 원인과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여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공복 상태에서 속이 쓰리고 불편한 이유는 단순히 배고픔 때문만이 아니라 위산 분비와 위 점막 방어능력의 균형이 깨지기 때문입니다. 최근 국내외 연구에 따르면 공복 시에는 위산 분비가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위 점막이 자극을 받아 통증과 속쓰림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특히 20.. 2025. 9. 29. 백색소음 vs 카페소음 (공부집중, 효과비교, 추천) 저는 공부하는 방법에 따라 공부하는 장소를 바꾸곤 합니다. 계속 중얼거리면서 뭔가 외워야 할 때는 다른 사람에게 방해가 되지 않게 혼자 집에서 하거나 어느 정도 소음이 있는 카페에 나가서 공부하는 게 더 잘 됩니다. 또 인터넷 강의를 많이 듣고, 기출문제를 많이 풀어야 할 경우에는 혼자 집에서만 하면 오래 못 하고, 시야가 트인 넓은 카페에 가서 여러 사람들 속에서 소음이 어느 정도 들리는 환경 속에서 공부해야 지루하지 않고 오래 공부를 할 수 있다는 걸 알았습니다. 따라서 공부할 때 완전히 조용한 환경만이 반드시 최선은 아니라는 사실은 이미 여러 연구에서 입증되고 있습니다. 특히 일정한 소음이 오히려 뇌를 자극하여 집중과 몰입을 높여준다는 결과가 최근 국내외 학술지에 보고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주목.. 2025. 9. 29. 바람 불면 눈물 나는 이유 (안구건조, 자극, 보호반사) 저는 개인적으로 라식을 하고 나서 안구건조증이 생긴 케이스입니다. 그전까지는 '안구건조증'이라는 용어가 존재하는지도 모르고 살았습니다. 라식 수술을 하고 나서부터는 길을 지나가다가 바람만 불어도 눈물이 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뛸 때 바람이 눈에 들어가면 눈물이 나고 많게는 흐르기까지 했습니다. 누가 보면 울면서 달리는 사람이 되는 모양새였습니다. 그래서 언제부터인가 계속 주머니에 눈물 닦는 휴지를 넣고 다니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계속 바람만 불면 눈물이 나다 보니까 눈 화장도 잘 못하겠고, 계속 눈물을 닦는다고 손이 눈에 많이 가니까 눈에 다래끼나 염증도 많이 났습니다. 그래서 안구건조증은 왜 일어나며 어떻게 해야 극복이 가능할까에 대한 주제를 놓고 이번에 글을 써보게 되었습니.. 2025. 9. 29.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33 다음